Текст томруулах:    
한국어 학습자 언어 자료 분석의 방법과 실제 = Hangug-eo hagseubja eon-eo jalyo bunseog-ui bangbeobgwa silje: 한국문화사 한국어교육학 시리즈 = Hangugmunhwasa hangug-eogyoyughag silijeu

Зохиогч: 원미진(Won Mi-jin), 황지유(Hwang Ji-yu), 남미정(Nam Mi-jeong), 왕억문(Wang Eok-moon), 왕호(Wang Ho), 이시재(Lee Si-jae), 김주영(Kim Joo-young), 주정정(Joo Jeong-jeong), 주우동(Joo Woo-dong), 김지영(Kim Ji-young), 신희랑(Shin Hee-rang), 박정화(Park Jeong-hwa).

Дахин хэвлэлт: 2쇄
Гаралтын мэдээ: 서울 한국문화사 2022

Шифр: 81.1Kor H 22.
Номын сан:
Window on Korea (1).



Бэлэн (1).
Товч агуулга: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교수 학습과 습득의 문제에 관해 연구를 하면서 매번 부닥치는 문제는 어떤 방법으로 언어 자료를 분석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에 맞는 방법일까에 대한 것이다. 같은 언어 자료라고 할지라도 어떤 관점과 방법으로 바라보고 분석하느냐에 따라 학습자의 언어 자료는 다양한 의미를 드러낼 수 있다. 이 책의 1부는 각 이론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소개와 언어 자료 수집 방법에 대한 소개이다. 1부의 기술은 연구자로서의 평소의 생각을 쉽게 풀어 설명하는 방법으로 기술하였다. 초보 연구자들이 연구 방법의 선택에 대한 고민 전에 전반적인 언어 자료 분석의 역사적 변천 과정과 장단점을 읽어보면 좋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연구자가 연구 방법을 선택할 때 할 수 있는 질문을 염두에 두고 기술하였다. 2부는 8개의 방법을 소개하는 각각의 장으로 나뉘어 있고 각 장은 분석 방법과 절차의 소개, 이러한 방법이 사용된 한국어교육 연구의 경향, 그리고 각 연구 방법이 적용되어 수행된 연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작업을 하였다.

Номын байршил
МУИС-ийн номын сан catalog › Details for: 한국어 학습자 언어 자료 분석의 방법과 실제 = Hangug-eo hagseubja eon-eo jalyo bunseog-ui bangbeobgwa silje
Номын сангийн нэр Ангилал Дансны дугаар Төлөв Санамжууд Буцаах огноо
Window on Korea
Хэл бичгийн шинжлэх ухаан, хэл шинжлэл 981381 Бэлэн Ганц хувь тул гэрээр олгох боломжгү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