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овч агуулга:본서는 크게 한국어 문법의 이론과 실제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그 이론의 틀은 학교문법의 체계를 따랐다. 학교문법은 문법의 용도 내지는 목표면으로 볼 때 실용문법으로 우리의 언어생활을 올바르게 하기 위하여 규칙을 정하고, 학교 현장에서 교육하는 문법이므로 학교문법(school grammar) 또는 교육문법(didactic grammar)이라고 한다. 따라서 학교문법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정확하고 효율적인 언어생활을 할 수 있도록 내용을 통일적으로 체계화시킨 문법이므로 그 내용은 문법학자의 학문적인 연구체계일 수 없고, 어느 개인이나 학파의 독단적 학설이나 체계일 수도 없다. 특히, 우리말은 정서적 언어의 특징을 지니고 있어서 논리성이 결여되기 쉽고, 이는 곧 현대국어의 혼란성으로 연계된다. 그러므로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습자들은 문법교육을 단계적으로 교육함으로써 지적 수준을 높이고 체계화하여 그 문법 지식을 실제 언어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