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екст томруулах:    
정병모 (Jeong Byeong-mo)

민화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 Minhwa gajang daejungjeog-in geuligo hangugjeog-in 테마한국문화사 9 = Temahangugmunhwasa 9 펴낸이 한철회 편집 이경아, 소은주, 권영민, 김태권, 김혜영, 최혜리 - 파주 돌베개 2012 - 463

WOK 365

「테마한국문화사」제9권『민화,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테마한국문화사>는 청소년에서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아름다운 우리 전통문화의 참모습을 감상하고, 그 속에 숨겨진 옛사람들의 생활 미학과 지혜를 느낄 수 있도록 기획된 시리즈이다. 9권은 다양한 관점에서 한국 민화를 조명한 책이다. ‘민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하여 그 위상을 밝히고, 민화의 주제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민화의 역사를 재구성하였다. 또한 민화를 종교와의 영향관계를 통해 검토하여, 조선 시대 통치이념인 유교가 어떻게 민화에 반영되었고, 불교와는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샤머니즘과 민화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 규명하였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민화의 개념을 분명하게 정리하고 있다. 야나기 무네요시 이래로 민화를 무명성(無名性)의 그림으로 정의한 서구적 개념이 아닌, ‘서민화가가 서민을 위해 그린 그림’이라는 민화의 개념을 제시한다. 또한 한국적인 시각에 머문 민화에 대한 담론을 확장하여 국제적인 시각에서 동아시아적 보편성이 무엇인지 검토한다.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민화만의 특색을 만나볼 수 있다.

한국어


Солонгос хэл дээр,

9788971994771

조선문화 한국미술 민화(그림)